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외국인등록증 발급절차 발급서류 분실신고 진위확인 신청하기

by 크로코딜로 2025. 6. 25.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 제2금융권까지 전면 확대!
최근 대한민국 금융서비스에서 중요한 변화가 생겼습니다. 바로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가 제2금융권(非은행권)으로 확대된 것입니다. 그동안 외국인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 겪던 여러 어려움이 디지털 기반 실시간 진위확인 시스템을 통해 크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국내 체류 외국인에게 금융 접근성을 높여주고,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신분 확인 오류로 인한 사기나 부정 거래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로도 기능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란 무엇이고, 어떤 금융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앞으로 어떻게 확대되는지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외국인등록증발급절차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란?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는 외국인이 은행이나 금융회사에서 계좌를 개설하거나 대줄을 받는 등 신분 확인이 필요한 업무를 할 때, 금융기관이 해당 외국인의 등록증 정보를 실시간으로 법무부 데이터와 비교·검증해 주는 시스템입니다.

 

 

 

검증 대상 신분증 3종
외국인등록증 (Alien Registration Card)

영주증 (Permanent Resident Card)

외국국적동포 국내거소신고증 (Overseas Korean Resident Card)

이 서비스는 금융기관이 외국인의 이름, 외국인등록번호, 생년월일, 사진 등을 전송하면, 법무부가 보유한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하여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1:1 매칭 방식으로 즉시 회신해 줍니다.

 

즉, 외국인이 모바일 앱이나 영업점 창구에서 실시간으로 신분확인을 받을 수 있는 편리하고 안전한 방법인 셈입니다.

외국인도 이제 더 빠르고 안전한 금융거래 가능
그동안 국내 금융시장에서 외국인들은 신분확인 절차가 까다롭거나, 위조 신분증에 대한 검증체계가 없어 불필요한 오해나 거절, 불이익을 받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외국인등록증은 국내 발급이지만,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그 진위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은 다음과 같은 불편을 겪었습니다.

 

계좌 개설 거절

대줄 신청 지연

정상 신분증을 소지하고 있음에도 의심받는 상황

하지만 이번에 시행되는 진위확인 서비스 덕분에 외국인도 이제는 신분증 위조에 대한 의심 없이, 신속하고 투명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금융 포용(Financial Inclusion) 측면에서도 중요한 전환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흐름: 어떻게 작동하나요?
진위확인 서비스는 단순히 신분증을 보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금융결제원·법무부·금융기관이 함께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시스템으로 작동합니다.

업무 흐름 요약
체류 외국인이 금융기관에 신분증 제출 (대면 또는 모바일)

금융회사가 진위확인 요청 전송

금융결제원이 법무부에 정보 전달

법무부가 보유한 등록 외국인 DB와 정보 1:1 매칭

법무부가 결과 회신

금융결제원이 회신받은 결과를 금융회사에 전달

금융회사가 외국인에게 진위확인 결과 안내

이 전체 과정이 대부분 수 분 이내에 자동으로 이뤄지는 비대면 실시간 검증 절차라는 점이 핵심입니다.

제2금융권까지 확대된 진위확인 서비스, 어떻게 달라지나?
기존에는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가 제1금융권(은행권) 중심으로 제공되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5월부터는 제2금융권(캐피탈, 저축은행, 신용협동조합 등) 7개 금융기관을 통해서도 정식으로 제공되며, 6월 이후에는 모든 제2금융권으로의 확대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24는 정부의 민원 서비스, 정부혜택(보조금24), 정책정보/기관정보 등을 한 곳에서 한 눈에 찾을 수 있고 각 기관의 주요 서비스를 신청·조회·발급할 수 있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 포털입니다

www.gov.kr

 

주민등록진위확인서비스

시행일정
2023.9.18. ~ 제1금융권 13개사 정식 서비스 시작

2025.1.~ 제2금융권 일부 시범운영

2025.5.~ 제2금융권 7개사 정식 서비스 개시

2025.6월 이후: 제1·2금융권 전체로 확대 예정

 

 

 

이제는 저축은행이나 캐피탈사에서도 외국인이 본인 신분증으로 금융상품 가입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지방에 거주하거나 인터넷 중심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외국인에게는 비대면 모바일 앱을 통한 인증 절차가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진위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기관 리스트
현재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금융기관은 총 20개사입니다. 이 중 제1금융권은 13개, 제2금융권은 7개입니다.

외국인등록 사실증명.png
0.00MB

 

▣ 대면·비대면 모두 제공 (10개)
신한은행,우리은행,KB국민은행,iM뱅크

BNK 부산은행,BNK 경남은행,전북은행,광주은행,IBK기업은행,KB국민카드

 

▣ 비대면(모바일 앱/웹)만 제공 (4개)
토스뱅크

하나은행

JB우리캐피탈

웰컴저축은행

외국인등록증발급절차

▣ 대면(영업점)만 제공 (6개)
NH농협은행,수협은행,수협중앙회,미래에셋증권,하나증권,MG새마을금고

이처럼 시중은행, 카드사, 저축은행, 증권사, 협동조합까지 폭넓은 참여가 이뤄지고 있어, 외국인은 다양한 선택지 속에서 금융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 어떻게 이용하나요?
이용 가능 장소
모바일 앱/웹 (비대면)

각 지점 방문 (대면)

준비물
외국인등록증, 영주증, 국내거소신고증 중 1개

스마트폰 또는 방문 가능한 금융기관 선택

 

절차
앱 접속 또는 지점 방문

본인 정보 입력 및 신분증 제출

자동 진위확인 요청

실시간 결과 확인 후 금융업무 진행

※ 일부 금융사는 서비스 탑재 여부에 따라 순차 적용 중이니, 사전에 앱 내 메뉴 확인 또는 상담을 권장합니다.

 

마무리: 금융 포용을 위한 혁신, 외국인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
이번 제2금융권 확대는 단순한 기능 추가를 넘어, 대한민국 금융의 포용성 확대를 상징하는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도 이제는 자신의 신분을 증명하는 데 불필요한 시간과 오해 없이, 디지털 기반으로 투명하고 효율적인 금융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모든 금융기관에서 이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며, 이는 외국인의 경제활동 및 사회통합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정보
정부24 외국인 민원 서비스

하이코리아 – 외국인 정책 종합 포털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금융결제원 홈페이지